[창업가의 노트] AI로 만드는 '이세계', 그리고 우리가 지켜야 할 '현실의 세계'

2025. 11. 22. 15:10사업 준비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창업가로서 매일 마주하는 치열한 고민의 기록을 조금 솔직하게 털어놓으려 합니다.

하나의 서비스를 만들고 기업을 이끌어간다는 것은 끊임없는 질문의 연속입니다. 단순히 "돈을 어떻게 벌까?"를 넘어, "우리는 어떤 가치를 세상에 내놓는가?"에 대한 답을 찾는 과정이기 때문입니다.

오늘 제 노트에 적힌 고민들은 비즈니스의 가장 현실적인 문제(수익)와 가장 이상적인 가치(환경과 미래) 사이의 줄타기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1. 사람들의 지갑은 언제 열리는가? (비즈니스의 본질)

사업을 준비하며 가장 경계하는 것은 우리의 서비스가 '구걸'이 되는 것입니다. "우리 힘드니까 도와주세요"라는 식의 접근으로는 지속 가능한 기업을 만들 수 없습니다.

사람들이 기꺼이 지갑을 여는 순간은 언제일까요? 바로 우리가 제공하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그들에게 확실한 '가치(즐거움, 유익함, 감동 등)'를 제공했다고 느낄 때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모든 사용자가 돈을 내지는 않습니다. 그렇다면 우리 서비스는 어떻게 생존해야 할까요? 저는 이 생태계를 유지할 두 가지 페르소나를 정의했습니다.

첫 번째, 즐기는 자 (User) 우리의 서비스를 순수하게 즐기는 분들입니다. 이분들 중 일부는 더 큰 재미와 몰입을 위해 구독, 일시 결제, 아이템 구매 등으로 기꺼이 비용을 지불합니다. 재미가 곧 구매의 이유가 됩니다.

두 번째, 뜻을 함께하는 자 (Partner) 우리의 서비스가 추구하는 가치에 공감하는 기업들입니다. 이들은 광고나 후원을 통해 자금을 집행합니다. 단, 전제 조건은 우리 서비스에 그들이 매력을 느낄만한 즐거운 사용자들이 모여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결국 시작점은 '사용자가 느끼는 재미'입니다.

2. 상상력으로 떠나는 여행: AI 텍스트 RPG

그렇다면 지금 제가 만들고 있는 '재미있는 서비스'는 무엇일까요? 바로 'AI와 함께 스토리를 만들어가는 이세계 탐방 게임'입니다.

화려한 그래픽은 아직 없습니다. 하지만 이미지 없이 오직 텍스트로만 진행되기에, 사용자들은 정해진 시각 정보에 갇히지 않고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습니다. AI가 던져주는 문장 하나하나가 각자의 머릿속에서 거대한 세계로 확장되는 경험. 투박하지만 강력한 이 텍스트 게임은 점차 발전해 나갈 것입니다.

AI 생성 이미지


3. 가장 큰 숙제: AI 기술과 환경 보호의 역설 (ESG)

서비스를 기획하며 저는 아주 거대하고 어려운 숙제를 마주했습니다. 바로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에 대한 고민입니다.

우리는 게임을 통해 미래 세대에게 자연과 동식물의 소중함을 전달하고 싶다는 비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이 게임의 핵심인 'AI 서비스'를 운영하고 구동하는 데는 막대한 전력과 에너지가 소비됩니다.

"환경을 보호하자는 메시지를 담기 위해, 환경에 부담을 주는 기술을 사용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서비스를 운영하면 할수록 환경 오염을 얼마나 시키게 되는지, 이것을 상쇄하기 위해 우리는 어느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 이 모순을 해결하는 것이 저의 가장 큰 숙제이자 의무가 되었습니다.

AI 생성 이미지 서버와 환경의 비중


4.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가야 할 길

이런 어려운 고민 속에서도 이 길을 포기하지 않는 이유는 명확합니다. '다음 세대' 때문입니다.

우리는 아이들에게 창의적인 스토리를 만드는 즐거운 '창작 문화'를 선물하고 싶습니다. 그리고 그 재미있는 경험 속에 우리가 꼭 지켜야 할 환경과 동식물들의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녹여내고 싶습니다.

재미와 의미, 기술과 환경. 이 어려운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해 저는 오늘도 노트를 펼치고 고민을 거듭합니다. 답이 쉽게 보이지 않더라도, 이 치열한 고민의 과정 자체가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드는 밑거름이 되리라 믿습니다.

 

오늘의 노트는 여기까지입니다. 여러분은 '착한 기술'과 '비즈니스'의 공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함께 고민해 주시면 큰 힘이 될 것 같습니다.

반응형